늘품애 장례길잡이 > 늘품애

늘품애 장례길잡이
가족의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모시겠습니다.
무료상담

후불제 장례
무료상담신청

장례 3일차

  • STEP 1장례식장 및 상조비용 정산

    발인 전 장례식장 시설이용 비용 및 상조비용을 발인 전 정산합니다.
    보통 장례 3일차 오전에 발인을 하는 경우가 많아 장례 2일차 밤에 정산을 합니다.
    하지만 여유가 된다면 장례 3일차 아침에 정산해도 무방합니다.
  • STEP 2안치실 시신 확인 및 인수

    모든 정산이 마무리 되었다면 발인 전 안치실에 모셔 둔 고인의 상태를 확인하시고 장지로 모시고 가면 됩니다.
  • STEP 3발인

    ※ 발인이란?
    발인이란 예전 장례는 상여를 매고 묘지로 이동을 했습니다.
    이를 발인이라 하며 요즘 현대장례는 장례식장을 떠나 화장장 그리고 장지로 가는 걸 발인이라 뜻합니다.
    !발인절차와 시간
    대부분의 발인은 오전에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정에 따라 오후에 하는 경우는 불가피하게 화장장 예약이 오후 늦은 경우 발인 시간이 오후로 진행을 합니다.
    !종교별 발인절차
    기독교
    오전 정해진 발인 시간이 있습니다. 정해진 발인 시간은 장의차량이 출발해야 시간이기에 보통 정해진 시간 30~40분 전부터 진행을 합니다.
    예를 들어 발인 시간이 오전 9시라면 30분 전에 교회에서 목사님과 성도님들이 오십니다.
    가족분들의 개인 짐 정리는 그전에 해주셔야 합니다. 목사님 주최로 빈소에서 발인 예배를 드리고 예배를 마치고 장례지도사님의 안내에 따라 영정을 모시고 영정 앞에 목사님이 서시고 영정 뒤로 상주님과 운구하시는 분 그 뒤로 가족분들이 따르게 되며 발인장으로 이동하시며 운구를 시작해 장의 리무진에 모시고 목사님께서 간단한 기도를 해주신 후 출발을 하게 됩니다.

    불교 및 일반 발인절차
    기독교와 다른 점은 빈소에서 예배가 아니 성복제를 올려드리고 영정이 가장 선두로 선다는 점이 다르며 그 외 진행 발인은 동일합니다.
    발인을 모시는 절차에서 가족분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시는 부분이 짐 정리입니다.
    발인 절차가 시작되면 그 다음부터는 짐 정리를 할 시간이 없이 순서대로 바로바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중간에 어딜 다녀오고 할 상황이 아닌데 짐 정리를 완벽하게 못할 경우 발인행렬 시 맨 뒤에 가족분들양손에 바리바리 짐을 들고 발인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운구가 끝나고 출발해야 하는데 자가용에 짐 놔두고 와야 한다고 정신없이 왔다 갔다 하는 경우도 많고요!
    그러니 가족분들께서는 피곤하시겠지만 발인 날 여유 있게 준비를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 STEP 4운구(장지이동)

    장례식 운구는 보통 장례식 마지막 날인 3일차에 이루어집니다. (2일장의 경우에는 2일차) 보통 3일차에는 발인 → 운구 → 매장 / 화장 / 장례 후 의례 순서로 진행됩니다.
    발인이 끝난 후 영구(관)을 장지까지 장의차량으로 운반하는 절차이며 장의차량을 이용할 경우 영정, 명정, 영구를 실은 후 상주, 상제, 복인, 문상객 순으로 승차하여 관을 옮깁니다.
    그리고 화장장에 도착하면 한번 더 운구를 하게 됩니다.
    !진행인원
    일반적으로 운구는 가족이나 친인척 또는 지인들이 하게 됩니다. 발인 전 운구할 분들을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발인 한 시간전에서 최소 30분전에 도착하셔서 장지나 일정을 체크하시는게 좋습니다.
    운구에 필요한 인원은 최소 4명~8명이며 보통 6명이 적당합니다.
    - 매장의 경우 6명, 선산의 경우 산세의 위치에 따라서 8명이 운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화장의 경우에는 운구거리가 보통 짧아 6명이 적당하며 여의치 않다면 4명만 있어도 가능합니다.
    - 운구인원이 없는 경우 상조회사의 장례지도사나 차량 기사님께 도움을 요청하실 수 있씁니다. 그러나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미리 사전에 양해를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족의 경우 모두 여성이거나 정말 인원이 없다면 비용을 들여 운구인원 섭외가 가능합니다.
    운구 시에는 검은색 정장에 흰 장갑을 껴주시면 됩니다.
    !진행방법
    운구 차량 탑승순서
    - 위패 → 영정 → 영구 → 유족 → 문상객 순으로 탑승합니다.
    • 1운구 행렬에서는 맨 앞에는 장손이나 장조카가가 위패를 모시고 맨 앞에 섭니다.
    • 2장조카나 큰 사위가 영정을 모시며 서게 됩니다.
    • 3뒤쪽으로 고인의 관을 모십니다.
    • 4상주와 유가족이 뒤를 따르게 됩니다.
    !운구 복장과 주의사항
    장례식 운구를 하게되면 보통 검은색 양복을 입어주시면 되고 흰 장갑을 껴주셔야 합니다.
    운구할 때는 키가 크신 분이 앞에 서는 것이 좋고 산에 오르게 되는 매장의 경우 키가 작은 사람이 앞에 서게 됩니다.
    운구는 경건한 분위기 속에 고인을 모시는 것이기 때문에 웃고 떠드는 행동 역시 하지 않아야 합니다. 관을 수평을 유지해 운구해야 하고 운구가 시작되면 멈추지 않고 계속 이동해 주셔야 합니다
  • STEP 5-1화장

    화장을 하시는 경우 발인 후 예약된 화장장으로 이동합니다.
    화장의 경우 고인 임종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화장이 가능하고 반드시 사망진단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화장절차는 화장예약 → 화장시설 도착 및 접수 → 운구 및 분향 → 화장진행 → 유골인수 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화장의 경우 화장예약 및 접수 순서에 따라 화장이 진행되며 약 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화장절차가 진행되면 수골실로 옮겨지고 수골실에서 고인의 유골을 정리 후 분골하여 유골함에 모시게 됩니다.
    화장 후 고인을 모신 유골함을 결정해 놓으신 장지로 이동하여 안치하게 됩니다.

    STEP 5-2매장

    장례 시작 전 매장지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발인날 도착 예정시각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보통은 아침 일찍 발인을 하므로 오전 중에 도착하여 안장까지 마치게 됩니다.
    광중이라고 하여 구덩이를 파야 하는 작업을 미리 해야 하므로 최소한 1일 전에는 통보를 해주셔야 수월하게 진행을 할 수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연기를 해야할 수도 있으니 반드시 늦지 않게 알려야 합니다.
    운구를 하여 해당 묘역에 도착을 하면 사무실에 들려 관련 서류 제출 및 작성을 하고 광중 위치에 가서 관을 묻게 됩니다. 이때 관은 쓸 수도 있고 쓰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유족의 선택사항입니다.
  • STEP 6장례식장 복귀

    장지에서 고인을 모신 후, 상복 반납 등의 이유로 장례식장에 복귀합니다. 그러나 자택이 장지 근처이거나 장례식장과 멀 경우 바로 집으로 복귀하셔도 됩니다.
  • 늘품애
  • 대표 : 이상일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 83번길 66, 1층
  • 사업자등록번호 : 523-86-00322
  • 대표전화 : 1899-1856
  • 팩스 : 031-938-0423